•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상담전화

031-311-5771

업무시간:
평일 am 09:00 ~ pm 18:00

FAX 031-311-5772

벌금, 범칙금, 과태료의 차이

질문 : 벌금, 범칙금, 과태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답변 : 벌금, 범칙금, 과태료 모두 금전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법적 성질과 그 효과가 모두 다르므로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서 그 차이점을 반드시 숙지하여야 합니다.

 

우선, 벌금은 국가가 범죄를 저지른 범인에게 부과하는 형벌의 일종이므로, 벌금형의 처벌을 받게 되면 전과(범죄경력)가 남게 됩니다. 벌금을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 일반 서민의 경우 10만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되게 됩니다. 벌금형의 형사처벌을 받은 원인이 된 행위가 민사상 불법행위를 구성할 경우, 민사재판에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확정된 유죄판결에서 인정된 사실을 그대로 인정하여야 하므로, 민사상 손해배상책임도 부담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예를 들어, 타인을 폭행하여 벌금 100만원의 형사처벌을 받은 경우, 가해자의 벌금형 전과는 평생 범죄경력조회에 남게 되고, 피해자는 민사소송에서 위 형사판결문을 증거로 제출하여 가해행위의 위법성을 쉽게 입증하여 배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의할 점은 공무원으로 임용되려 하는 사람이나 어린이집 보육교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벌금형의 처벌을 받은 전력으로 인하여 임용이나 취업이 제한되는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다음으로, 범칙금제도란 일상생활에서 흔히 일어나는 경미한 법 위반 행위를 한 자에 대하여 일정액의 범칙금을 부과하여 법칙금을 납부하는 사람에 대하여 기소를 하지 아니하고 사건을 간이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제도로서, 경미한 범죄에 대한 형사처벌의 특례 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 현행법상 경범죄처벌법, 도로교통법, 조세범처벌법, 출입국관리법 등에 범칙금 제도가 도입되어 있습니다. 노상방뇨를 하여 범칙금을 부과받은 경우(경범죄처벌법위반), 속도위반으로 범칙금을 부과받은 경우(도로교통법위반), 외국인을 불법 고용하여 범칙금을 부과받은 경우(출입국관리법위반), 세금계산서 미발행으로 세무조사를 받고 범칙금을 부과받은 경우(조세범처벌법위반)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범칙금을 부과받은 자가 범칙금을 납부한 경우 형사처벌을 면할 수 있고 전과도 남지 않지만, 범칙금을 납부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찰서장, 출입국관리사무소장, 세무서장 등의 고발에 의하여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 범칙금을 납부하지 아니하여 기소된 자는 통상 부과된 범칙금과 같은 금액의 벌금형으로 처벌을 받게 되고, 이 경우 벌금형의 전과가 남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과태료란 행정법상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자에게 행정청이 부과하는 금전적 제재금입니다. 예를 들면, 시흥시에서 주차금지구역으로 지정한 구역에 무단 주차를 한 경우 시흥시장은 과태료 부과 처분을 할 수 있고(속칭 주차딱지라 합니다), 공인중개사, 주택관리사, 변호사 등 일정한 직업을 가진 사람이 직무상의 의무를 위반한 경우 감독 관청이 과태료 부과처분을 할 수 있습니다. 과태료는 형벌이 아니므로 과태료 부과처분을 받은 전력은 전과로 남지 않으며, 과태료를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과태료를 체납한 경우 체납처분(세금을 강제징수하는 절차로 이해하시면 됩니다)의 예에 따라 징수당할 수 있습니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7-03-17

조회수17,731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 일상가사채무의 범위
  • 관리자

    일상가사채무의 범위

    질문 : 저는 시화공단에 있는 회사에 다니던 중 같은 회사 함바 식당에 근무하는 A씨를 알게 되었습니다. A씨는 2012년 1월경 제게 “우리 남편이 식당을 개업하는데 1,000만원이 필요하다, 한 달 뒤에 100만원을 이자로 쳐서 1,100만원을 갚겠다”며 돈을 빌려 달라고 요..more

  • 벌금, 범칙금, 과태료의 차이
  • 관리자

    벌금, 범칙금, 과태료의 차이

    질문 : 벌금, 범칙금, 과태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답변 : 벌금, 범칙금, 과태료 모두 금전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법적 성질과 그 효과가 모두 다르므로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서 그 차이점을 반드시 숙지하여야 합니..more

  • 임금채권의 소멸시효와 임금체불의 공소시효
  • 관리자

    임금채권의 소멸시효와 임금체불의 공소시효

    질문 : 저는 시화공단에 있는 A주식회사에 2001년 3월 입사하여 2011년 2월까지 생산직으로 근무하였으나 회사의 경영난 등을 이유로 임금 및 퇴직금 총 1,500만원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퇴사하였습니다. A주식회사는 제가 퇴사할 무렵부터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결국 2011..more

  • 명예훼손과 `비방의 목적`
  • 관리자

    명예훼손과 '비방의 목적'

    질문 : 저는 〇〇성형외과에서 눈 부위 지방제거수술 및 턱부위 고주파시술을 받았으나 수술 결과가 좋지 아니하여 모양이 이상해지고 부작용까지 생겼으며, 이로 인해 심각한 우울증까지 겪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네이버 지식검색 질문․답변 게시판에 저..more

  • 평균임금과 통상임금
  • 관리자

    평균임금과 통상임금

    질문 : 저는 2005. 4. 1. (주)〇〇에 입사하여 생산직 사원으로 근무하던 중 2014년 말경부터 몸이 안 좋아서 잔업과 특근을 제대로 하지 못했고, 치료를 위해 병가를 내서 근무를 빠지는 날도 많아졌고, 결국 2015. 3. 31.자로 퇴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기본급 200만원, ..more

  • 기획부동산 사기사건
  • 관리자

    기획부동산 사기사건

    질문 : 어느 날 아는 친구가 제게 경기도 양평에 좋은 땅이 있는데 살 생각이 없냐며 기획부동산 직원 3명을 제게 소개시켜 주었습니다. 기획부동산 직원 3명은 제게 “아주 좋은 땅이 있다”며 답사를 가자고 제안하였습니다. 저는 기획부동산 직원 3명에게 현혹되..more

  • 지입사기 피해 구제방안
  • 관리자

    지입사기 피해 구제방안

    질문 : 저는 일자리를 찾던 중 알바몬 사이트에 올라온 전자제품을 배송하는 지입기사를 모집한다는 구인광고를 보게 되었습니다. 저는 각종 비용 공제하고 월 500만원 이상의 순수입이 보장된다는 위 구인광고에 현혹되어 광고에 기재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물..more

  • 명의대여자의 법적 책임
  • 관리자

    명의대여자의 법적 책임

    질문 : 저는 ‘정왕산업’이라는 상호의 개인사업체에 3천만원 상당의 물건을 납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물품대금을 일체 지급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왕산업’은 `갑‘이 실질적으로 운영하지만 사업자등록은 ’갑‘의 배우자인 ’을‘ 명의로 되어 있습니다. ..more

  • 타인간의 대화 녹음
  • 관리자

    타인간의 대화 녹음

    질문 : 아이폰은 왜 통화중 녹음이 안 되나요? (개인이 타인간의 대화를 몰래 녹음한 녹취파일의 증거능력)     답변 : 미국은 전화통화녹음 관련법이 각 주마다 다르지만, 미국의 몇몇 주에서는 통화에 참여하는 사람이 모두 녹음에 동의해야 하고 한 사..more

  • 파견근로자에 대한 사용사업주의 책임
  • 관리자

    파견근로자에 대한 사용사업주의 책임

    질문 : 저는 일자리를 구하기 위하여 이 지역에 왔다가 ‘(주)〇〇용병’이라는 상호의 근로자파견사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에 취업하여 2012. 3. 2.부터 자동차용 부품 등을 제조․판매하는 ‘(주)〇〇산업’에 파견되어 근무를 하던 중 2012. 3. 30.경 생산설비 ..more

    첫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